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철학과

메뉴

학술소식 및 자료

제목 - 설명

우리는 지구에 새겨진 인류의 거대한 흔적으로 인해 고통과 죽음으로 변모된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인간이 자연과의 힘겨루기에서 승리하여 지구의 기능을 바꿀 정도로 강력해진 존재인가아니면 기후변화는 유약한 인간이 변화시킬 수 없는 신의 영역이나 지질학적 힘의 영역일까사실 기후 위기야말로인간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요구하며인류와 자연을 구원할 변화를 만들어 낼 새로운 실천철학을 요구하고 있다.

2022년 봄학기 <철학입문>의 한 분과로 기후철학을 공부하면서, 22학번 새내기들은 우리가 진정 인류세 시대에 살고 있는지인간은 신과 동물 사이에 있는 존재인지아니면 인간동물종이컵은 다 같은 flat한 존재론적 위상을 갖는지 고민했다또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으로부터화이트헤드의 사변적 실재론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모튼의 초객체헤러웨이의 신유물론 등을 공부하면서철학자들의 존재론과 인식론을 토대로 기후변화의 원인으로서의 인간의 존재와이를 둘러싼 지구시스템의 위기그리고 이를 해결할 새로운 정치와 윤리의 출현을 고대하며 지속가능한 시대로의 전환을 위해 준비했다.

기후 위기는 문화의 위기이자 과학과 상상력의 위기이며어느 한 분야의 문제가 아닌 정치도과학도문학도철학도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이다.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과 수많은 환경주의자들의 투쟁과학자들의 경고와 기업인들의 ESG 경영혁신그리고 프란테스코 교황의 종교적 메시지까지기후위기의 문제는 오늘날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의 핵심 이슈이며 모든 학문분야로 뻗어 있다이에 기후철학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인 탐구를 통해인류세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서 다른 학문들과의 연결선상에서 함께 해결책을 논의해 나갈 것이다철학이 기후위기 시대에 나침반이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숭실철학 새내기 철학도들은 이를 토대로 개인의 가치관과 행동의 변화를 넘어위기의 순간에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며불확실한 미래를 헤쳐나갈 새로운 설득의 힘을 갖게 될 것이다우리가 살고 싶은 세상을 만들어갈 미래 숭실 철학도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숭실대 철학과 장미성교수

2022년 8월 31

 

 

 

( 표지 디자인: 남윤호 학생 )

기후철학_철학입문 2022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