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바로가기

철학과

메뉴

학술소식 및 자료

제목 - 설명
  • [학회]2024-5년 겨울방학 연합 학회-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

    • 등록일
      2024-12-10
    • 조회수
      87

2024-5년 겨울방학 학회는 연합 학회로 진행됩니다. 5개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해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에 관한 책을 읽으며 토론하는 시간뿐 아니라, 실학박물관, 지구와사람 등 기후와 관련된 여러 단체와 전시 등을 함께 가보면서 기후 위기 시대에 철학자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5개의 학회 중심이 아닌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여러 학우들과 함께 발제, 토론, 을 쓰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철학과 학우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활동사항]

1. 연합 모임 (O.T.):  12/23일 (월) 4-6시

2. 특강: 1/16 (목) 18시

3. 현장학습: 실학박물관, 지구와사람 등

4. 5개 주제별 모임 운영 (8주)

5. 결과물로서의 에세이, 영상 제작 및 시상식 시행

[5개의 주제]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로서 존재론과 인식론

* 티머시 모튼, 김태한 역, <생태적 삶>, 앨피, 2023.

참고문헌) 브뤼노 라투르, 박범순 역,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이음, 2021.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로서 정치철학

* 조엘 웨인라이트, 제프만, 장용준 역, <기후 리바이어던>, 앨피, 2023.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로서 기후감정론

* 리베카 헌틀리, 이민희 역, <기후변화, 이제는 감정적으로 이야기할 때>, 양철부그 2022.

참고문헌) 양선이, <감정상했어요?>, 좋은땅, 2024.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로서 에코페미니즘

* 도나 헤러웨이, 최유미 역, <트러블과 함께하기>, 마농지, 2021.

참고문헌) 발 플럼우드, 김지은 역, <악어의 눈>, yeondoo, 2023

기후 위기 시대의 에코소피아로서의 유학사상

* Mary Evely Tucker, John Berthrong, 오정선 역, <유학사상과 생태학>, 예문서원, 2010.

참고문헌) 한형조, <조선유학의 거장들>, 문학동네, 2008.

[에세이 및 서평 경연대회]

1. 제출 기한: 2월 23일 까지

2. 심사 기한: 2월 24일 ~ 25일

3. 결과 발표: 2월 27일 17시 이전

– 에세이: 대상 30만원 1인, 우수상 10만원 2인

– 서평:  대상 20만원 1인, 우수상 10만원 1인

[신청 및 문의]

1. 신청 기간: 12월 16일(월) ~ 12월 22일(일)

2. 신청 방법: 비교과 시스템을 통해 신청 (각 학회 당 선착순 5명으로 제한)

3. 문의: 철학과 사무실 (02-820-0370, philosophy@ssu.ac.kr)

상단으로 이동